전남대,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선정
RISE 연계 지역발전 시동

전남대학교(총장 이근배)가 교육부가 추진하는 대형 국책사업인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돼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혁신 동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와 글로컬대학위원회(위원장 김중수)는 예비지정 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5월 27일, 전남대를 포함한 총 18개(25개교)의 대학을 2025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으로 발표했다.
글로컬대학30 사업은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고 세계적 수준의 특성화된 대학으로 도약하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국책사업이다. 전남대는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탈락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올해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전남대는 최근 광주시와 전남도가 주관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에도 최종 선정돼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강력한 추진력을 확보했다. RISE 사업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919억 원의 재원을 확보했으며, 지역 전략 산업과 연계하여 교육-연구-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역 인재 양성 및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전남대는 그동안 이근배 총장이 직접 글로컬대학 추진위원장을 맡아 ‘인공지능이 살리는 문화인문, 문화인문이 키우는 인공지능’이라는 혁신적 슬로건 아래 대학 전체가 참여하는 AI 융합 및 창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혁신기획서를 마련했다. AI 중심 도시이자 문화수도 광주의 특성을 활용해 ▲전 학문분야 AI 융합교육, ▲GIST-KENTECH와의 협력을 통한 AI 글로벌 탑티어 연구 기반 구축, ▲AI 융합 글로벌 허브 추진 전략 등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지역 대학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상생 발전의 기반을 다지기도 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와 'AI 융합 광주형 리서치 트라이앵글' 협약을 체결했고, 광주교육대, 국립목포대, 국립순천대와도 지역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 등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의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근배 총장은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과 RISE 사업 선정을 통해 우리 대학이 지역 발전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학과 지역이 동반 성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남대학교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대는 오는 8월까지 혁신과제를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서를 마련하여 본지정 평가에 대비할 예정이다. 본지정 결과 발표는 9월에 이루어지며, 전남대는 최종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