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진 전남대 석좌교수, ≪영남인물고≫ 완역의 첫걸음 떼다
2011년 7책이 일본으로부터 반환, 총 17책의 문헌
인물의 사실 원문적까지 번역 보충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신해진 석좌교수가 ≪영남인물고≫ 1권을 출간했다.
≪영남인물고≫는 1798년 채제공 등이 정조의 명에 따라 영남지역 57개 고을 인물 860명의 간략한 생애와 주요 행적을 각종 문헌에서 초출하고 군현별로 편차한 문헌인데, 총목과 도목, 권1~권15를 합하여 총 17책으로 이루어진 유일 필사본이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권1~권10까지 10책이 소장되어 있고, 국립고궁박물관에 총목과 도목을 포함하여 권11~권15까지 7책이 소장되어 있다.
원래 규장각에 보관해 오던 ≪영남인물고≫는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한일관계조사 자료로 66종 938권을 일본으로 가져갈 때 7책(총목·도록, 권11~15)도 반출되어 규장각에는 10책만 남게 되었다. 그러다가 2011년 조선왕조 도서가 일본으로부터 반환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될 때, 영남인물고 7책도 환수되어 규장각의 10책과 짝하여 완질을 이루게 되었다.
이 영남인물고의 번역은 1967년 강주진 등에 의해 일본에 있었던 부분은 제외된 채 번역되어 세로 판형으로 탐구당에서 출간한 바 있으나, 그 이후로는 재번역 된 적도 없고 또한 완역되지도 않았다. 게다가 학술적 주석 작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 신해진 교수는 ≪영남인물고≫에 인물의 사실이 행장·언행록·비문·제문 등 원래 문적에서 초록하여 수록되어 있는바, 정밀한 학술적 주석뿐만 아니라 그 원래 문적까지 대부분 번역하여 함께 수록하여 튼실한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신해진 교수는 “지역 집단의 유대 공고화 및 공통된 학문적 성향 등을 비롯한 인물 간의 동질성을 구축하게 한 의식적 기반을 확인하여 그것의 초연결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의미의 맥략성을 살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리라 생각한다.”라며, “앞으로 5년 안에 완역을 목표로 정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해진 교수는 지난해 8월 정년 퇴임 후, 9월부터 석좌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전남대 개교 이래 인문대학에서는 석좌교수로 임용된 첫 사례이다. 신 교수는 용봉학술상(2019), 용봉학술특별상(2021, 2022) 2회 연속 수상, 용봉학술대상(2024)을 인문대학에서 각기 최초로 수상한 교수이기도 하다. 또한, 제6회 대한민국 선비대상(2024)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