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여수학연구원,
‘여순사건 유해발굴’ 주제로 제8회 여수학포럼 개최
여순사건 유해발굴, 체계적 접근 필요
과거사 청산의 전환점 될 것
유해발굴, 사회적 통합의 자료로 활용돼야

전남대학교 여수학연구원(원장 김대현)이 지난 7일 전남대 산학연구관에서 ‘여순사건 유해발굴의 사회적 의미와 지향’을 주제로 제8회 여수학포럼을 개최했다. 올해 1월 9일과 23일에 이어 세 번째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여순사건 유해발굴의 필요성과 과제를 조명하는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노용석 교수(부경대학교)는 ‘과거사 청산 과정에서 유해발굴의 의미와 기능’을 주제로 발표했다. 노 교수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은 국가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피해자 가족들은 연좌제와 사회적 낙인 속에서 오랜 기간 고통을 겪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0년대 이후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과학적 유해발굴이 본격화되면서, 유족들은 유해를 단순한 추념의 대상이 아닌 ‘사회적 유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며 유해발굴이 과거사 청산과 사회 구조 변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박근태 원장(일영문화유산연구원)은 ‘제주4.3 유해발굴 성과와 여순10.19 유해발굴을 위한 제언’을 통해 체계적인 유해발굴 절차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원장은 “여순사건 유해매장지는 증언조사를 통해 추정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 증언이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증언조사, 기초조사, 시굴조사를 거친 후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발굴 이후 유해 처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부족해, 체계적인 조사를 위해 특별법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문수현 자문위원(전라남도 여순사건지원단)은 ‘여순사건 집단학살추정지 조사결과와 유해발굴 과제’를 통해 유해발굴의 사회적 의미를 조명했다. 문 위원은 “유해발굴은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의 신원을 확인하고, 후손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과정”이라며 “진실과 화해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제 발표 후에는 강성호 교수(순천대)의 사회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강 교수는 “여순사건과 관련된 유해발굴을 주제로 한 포럼이 처음 개최된 만큼, 이번 논의를 계기로 실질적인 성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토론에는 ▲최정기 전남대 명예교수 ▲최성문 전 전라남도 여순사건지원단 ▲박종길 여수순천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 실무위원회 위원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한편, 이번 포럼은 모던 앙상블 문화공연으로 시작됐으며, 제주4.3사건을 다룬 그림책 『다랑쉬굴 아이』(김미승 글, 이소영 그림) 원화 전시도 함께 진행돼 의미를 더했다.